2023. 8. 29. 19:36ㆍ마케팅 교육 후기
오늘은 위그로스 교육을 통해 어떤 것을 배웠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1. GA4/UA 다른 점
1) 데이터 집계 기준 : 세션 -> 이벤트
GA4로 넘어오면서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GA4는 모두 이벤트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다는 것이다.
기존 세션으로 집계했던 UA와 다르게 이벤트로 유저데이터를 집계함으로서 과집계의 오류를 일부 정정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이벤트란
'웹페이지 내에서 상호작용하는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
을 말한다.
그렇다면 "행동"에 대한 정의와 수집할 정보는 어떻게 설정할까?
이를 GA4에선 '이벤트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있다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hit = 유저 상호작용, 행동
GA4 이벤트 = 사용자 행동 데이터
이벤트 매개변수 = 사용자 행동이 일어날 때 수집할 정보
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내 티스토리 블로그의 돋보기 버튼을 클릭이란 상호작용을 하였을 때,
a. 페이지를 보는 상호작용 이벤트/세션시작 이벤트
b. 돋보기 버튼을 클릭하는 이벤트
가 발생하며
b의 돋보기 버튼 클릭 이벤트에서 수집하는 정보는
i. 티스토리 페이지 url
ii. 돋보기 버튼의 html상 class 값
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버튼이 클릭되었을 때,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벤트의 정보인 매개변수가 GA4로 전송되는 샘
여기서 GTM으로 태그를 지정해줘야하지만 후술하는걸로 하겠다.
2) 사용자 식별 기준의 변화
사용자 식별 기준에도 변화가 생겼는데, 기존 기기 ID를 기반으로 한 쿠키데이터를 수집했던 UA와 달리
GA4에선 총 3가지 기준으로 유저를 식별한다. 3가지 기준을 알아보자.
a. 기기ID
기존 UA와 마찬가지로 기기 기반의 쿠키데이터를 수집한다. 하지만 2024년부터 쿠키데이터를 제공하지 않게 된다는 점,
다른 브라우저로 들어올 시 두 사람으로 인식한다는 점 등 한계가 있다.
b. User - ID
회원가입시 부여되는 고유 식별 아이디로서 고유 아이디를 통해 기기를 통합하여 구매여정을 추적할 순 있지만 개인정보 수집이 안된다는 단점이 있다.
c. 구글 신호데이터
구글 로그인시 생성된다. 사용자의 행동이 저장되는 데이터로 광고 정보 수집 비활성화시 수집이 안된다는 점, ios 14 이상 버젼에선 수집이 안된다는 한계가 있다.
쿠키리스가 이렇게 코앞까지 다가옴에 따라 GA4도 쿠키에 대응할 수 있도록 3가지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있다.
2. GA4 데이터 계층
그렇다면 GA4는 과연 세션이 없어졌을까?
아니다. GA4엔 여전히 세션이 존재한다. 단지 데이터 수집의 기준이 달라졌을 뿐이다.
그렇다면 데이터는 어떤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아봐야 한다.
모든 데이터가 그렇진 않지만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사용자 ⊃ 세션 ⊃ 이벤트
라고 생각하면 된다. 가장 작은 단위의 이벤트가 있고, 이벤트의 집합인 세션이 있다.
세션은 상호작용없이 30분이 지나면 종료된다.
또한 참여 세션의 기준이 있는데,
i) 페이지뷰 2회 이상
ii) 전환 1건 이상
iii) 10초이상 체류
일 때 참여(engagement)로 취급되며, 참여율에 반영된다.
3. GTM을 사용하여 GA4를 티스토리와 연동하기
티스토리는 굉장히 연동이 쉬운 UI를 제공하고 있는데, 조금 더 어렵게 헤드/바디태깅을 통해 연동해보자.
우선 GA4 계정을 만들어야 하는데,
https://dachata.com/google-analytics-4/post/install-google-analytics-4/
[Google Analytics 4] 구글 애널리틱스 4 설치하기
구글 애널리틱스 4(Google Analytics 4) 속성을 설치하는 강의로 Google Tag Manager를 활용합니다. Universial Analytics에서 Google Analytics 4 이전을 위한 기능에 대해 알아봅니다.
dachata.com
여길 참고하도록 하자.
계정을 만들었다면 태그매니저 계정을 생성해야 한다.
계정 만들기 클릭한다.
웹사이트 주소를 넣고, 타겟 플랫폼 - 웹 설정하고
만들기를 누른다.
예 눌러준다.
그럼 이런 창이 뜨는데 이제 티스토리로 이동해준다.
티스토리 - 설정 - 스킨편집 - HTML편집
헤드 바로 아래에 위 코드를,
바디 바로 아래에 아래 코드를 붙여넣으면 된다.
참 쉽다. 하지만 이게 끝일까?
아니다 이제 설치를 했으니 페이지에서 일어나는 데이터가 GA로 들어갈 수 있도록 기초 이벤트 하나를 설정해줘야한다.
4. All page view 이벤트 태그 생성하기
우측 상단 새로만들기 버튼 클릭
태그 구성은 GA4 구성으로 설정
이게 어떤 의미냐면
유저가 내 블로그 내 어떤 페이지라도 방문하게 된다면 (조건)
데이터를 GA로 보내줘(실행)
의 의미를 가진다.
측정 ID엔 GA4를 처음 가입했을 때, 발급받는 아이디를 기입하면 된다.
GA4 속성 - 데이터스트림 - 웹데이터스트림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트리거는 All pages 선택
트리거란 '태그가 실행되는 조건'인데 위에 설명했듯,
내 사이트 내에 있는 모든 페이지 중 어떤 페이지라도 유저가 본다면, 방문한다면
이라는 조건이 되겠다.
다 만들었으면 저장 누르고
디버깅 해주면 된다.
ga들어가서 데이터가 잘 들어오는지 확인하고, 태그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보도록 하자.
'마케팅 교육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와세움 디지털 마케팅 에센셜 코스 수료 후기 (0) | 2023.09.14 |
---|---|
코멘토 퍼포먼스 마케터 직무 부트캠프 후기 (4) | 2023.08.29 |